네트워크/라우터 & 스위치
0404 공부정리
dp.
2011. 4. 13. 09:29
윈도우 ipconfig --> ifconfig /all
리눅스 ifconfig
ip -> ipv4/ ipv6
mac 48비트,6바이트, 고유(3/3)
gateway 는 출구
subnet은 같은 구역 다른구역, 네트워크 주소 뽑아내고, 같은네트웍안에ㅓ 서브네팅때 쓰는값
dns -domain name server
wan은 구름
Lan은 이더넷 방식을 가장많이사용
pc(lan card) -(케이블연결)- switch or hurb(switching) - gateway(router-routing) - wan
데이터가 클때
ethernet mtu(1500)
송신데이터가 mtu보다 크면 쪼개기, 순서대로 보내고 뒤죽박죽 받고, 순서대로 정리 조합
데이터 전송시 프로토콜에 맞춰서 보내진다.
편지봉투에 들어가는 항목
서비스(http,ftp), 전송방식(udp tcp), 주소체계(ip,apple talk, ipx), 스위칭(lan,wan)
패킷구조.
응용 응용프로그램
표현 압축,확장자,암복호
세션 연결성립, duplex(full/half) , port정의
전송 port사용,tcp,udp
네트워크 라우터 주소체계 라우팅, L3 Switch
데이터링크 스위치(L2), LLC, MAC(ethernet)스위칭
물리 허브 랜카드 케이블
케이블
10baseT utp stp(실드)
utp device 1,2,3,6 일반적으로 사용
카테고리 5e 의 10baseT, 100baseT많이 사용
허브 스위치(1,2-받는, 3,6- 보내는)
라우터 컴터(1,2-보내는, 3,6-받는)
허브와 라우터 연결시 스트레이트
광섬유
멀티모드 - 반사각에 따른 여러개의 신호를보냄으로 다량의 데이터전송가능 하지만 거리가 짧아짐
싱글 - 멀티보다 소량데이터 거리는 길다
허브와 허브,스위치 연결시 크로스케이블로
csma/cd(carrier sensing muiltiple access/ collision decetion)
요즘은 계층 구조의 토폴로지 사용
엑세스스위치
분배계층 스위치
코어레이어스위치(백본)
수신자에따른 전송방식
유니 1:1
브로드 1:all 2555.255.255.255 FF-FF-FF-FF-FF-FF
멀티 1:다수(특정그룹)-IGMP
브로드케스트 도메인 : 하나의 네트워크 : 라우터가 나누어줌
브로드케스트보낼때
pc --> hub --> switch --> router
보냄 모름 브로드네?보냄 드랍
ether head src dst mac
ip head src dst ip
tcp head src dst port
ipv4 - 32bit
dhcp--> stateful
ipv6 - 128bit
64bit는 dhcp, 64bit는 자신의mac주소(48bit)+FF FE(16bit) --> stateless
라우터끼리의 통신(clock과 데이터라인이 별개)과 컴퓨터와 라우터와의 통신(하나의라인에 인코딩을 통해 clock과 데이터를같이보냄) 은 다르다
리피터의 신호증폭 의미는 '증폭'의 사전적 의미가 아니라 리피터에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바꾸고 다시 아날로그로 바꾼다는 뜻이다.
요즘 허브는 리피터 기능을 포함!!! L1
브릿지(스위치) 컬리전 도메인을 분리한다. 케리어 센서의 적용범위 제한
브릿지 포트가 여러개인것이 스위치이다. L2
arp는 해당ip의 맥주소를 모를때 사용
dst ip에 해당 ip넣고 dst mac에 FF 를 전부 채워서 브로드캐스트하면 해당 ip만 응답한다.
명령어
win arp -a
linux arp -e
rarp는 반대
arp는 3계층 아래에. 2계층과 3계층을 이어주는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