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 2011. 4. 13. 10:39
패킷전달시(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끼리ping) L2(맥주소),L3(IP주소) 변하는과정  알기
스위치는 맥주소가 있지만 거쳐가는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중에는 L2주소를 스위치 자기자신의 주소로 바꾸지 않는다
그냥 거쳐가는것뿐 .
바꿀때는 스위치끼리 통신할때.

즉, 라우터는 인터페이스마다 맥주소가 있으므로 

맥어드레스테이블 스위칭 테이블은 스위치 장비안에있음

스위치는 우체부라서 L2주소만을 보고 스위칭테이블에서 전달 목적지를 찾는다. 

허브는 1계층 장비  2계층인 이더넷 헤더를 읽어들일 수가 없다. 

스위치는 맥어드레스 테이블에 포트별 맥주소가 맵핑되어 있으면 전달(포워딩,filtering)
테이블에 정보가 없으면 다뿌린다.(flooding)
또.. arp같은 브로드캐스트 맥주소는 다 뿌린다. 

각 정보에대해서 timer을 정해서 5분정도의 시간동안 frame이 오지 않으면 테이블 에서 삭제(againg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에 없는 정보에 해당하는 경로가 오면 버린다

따라서 라우터가 두개 이상 연결되어있을때서로의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한다. 라우팅 프로토콜


윈도우에서 route print


프래임릴레이 환경, 이더넷 환경 여러 환경이 있다
DLCI는 프래임릴레이환경에서 L2주소이다. 

Gratutious ARP 
요청시스템은 아무런 정보도 얻지 못하지만 다른장비에게 갱신을 위해 전달해준다.
타겟 mac은 비워두고 sender IP 타겟 IP에 똑같이 자기 IP를 넣어보냄.


RXBOOTmode
startup-config    가 저장되어있다가 작동중이면 running-config로 바뀜
rommon> 이나 r> 뜨면 이미지에 문제가 생긴것이다.


라우터의 모드별 프롬프트의 모습알기

                   
들어갈때 나갈때
  
router>   enable 
router#   configure terminel
router(config)#   int fa0/1 
router(config-if)#   exit(한단계위로)  , ctrl +Z  or end,  disable                             
router(config-line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