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 Spanning-tree protocol <루트스위치 선출을 위해 동작 : 루프방지 >
CDP : Cisco discovery protocol < 시스코 장비에서만 작동, 이웃 장비정보파악가능>
다중 Vlan환경에서 포트관련 프로토콜
DTP : Dynamc trunk protocol ( IEEE 802.1q, Cisco ISL)
VTP : vlan trunking protocol
CDP : Cisco discovery protocol < 시스코 장비에서만 작동, 이웃 장비정보파악가능>
다중 Vlan환경에서 포트관련 프로토콜
DTP : Dynamc trunk protocol ( IEEE 802.1q, Cisco ISL)
<한쪽포트가 트렁크 포트가 되었을 때 다른한쪽포트도 자동으로 trunk포트되기 위해 동작>
# int fa0/1
# switchport mode trunk 라고 입력시 반대 편 포트도 자동으로 DTP때문에 trunk port로 동작
# int fa0/1
# switchport mode trunk 라고 입력시 반대 편 포트도 자동으로 DTP때문에 trunk port로 동작
VTP : vlan trunking protocol
<다중 vlan환경에서 vlan정보를 자동으로 전달하는 프로토콜>
# show vlan-switch
# show vlan-switch
HSRP : Hot standby router protocol
<스위치 이중화시에 한쪽 스위치가 다운되면 다른 한쪽이 동작하기 위해 active, standby 모드로 나뉘어 동작>
# show vtp status
# show vtp status
'네트워크 > 라우터 & 스위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 STP protocol 종류 (0) | 2011.07.04 |
---|---|
0524 frame-relay 토폴로지 및 패킷트레이서 설정 및 셋팅 (0) | 2011.05.25 |
0523 다이나밉스, 다이나겐 .net파일 설정 (0) | 2011.05.25 |
0520, STP, port 정책, 토폴로지이해하기 (0) | 2011.05.20 |
0519정리, 다중 VLAN, VTP정리 (0) | 2011.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