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83

그룹관리 

그룹추가  
groupadd [그룹이름]
groupadd -g [그룹이름] gid번호할당
/etc/group 에 확인하면 자동으로 101번 부터 할당

그룹의 필요성
그룹별로 제한적인 명령어, 권한값을 줄 수 도 있다.     pam을 통해서 


sol-25@root[/export/home/sam]vi /etc/group
"/etc/group" 23 lines, 314 characters
root::0:
other::1:root
bin::2:root,daemon
sys::3:root,bin,adm
adm::4:root,daemon
uucp::5:root
mail::6:root
tty::7:root,adm,    test2          ===>여기에 이렇게 추가하면 test2사용자만 tty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lp::8:root,adm
nuucp::9:root
staff::10:
daemon::12:root
sysadmin::14:
smmsp::25:
gdm::50:
webservd::80:
postgres::90:
nobody::60001:
noaccess::60002:
nogroup::65534:
vboxsf::100:

telnet 에서 write root pts/3과 같은 명령어로 대화가 가능하게 하는데  wirte권한을 보면 그룹에 SetGUID가 걸려있다
따라서 터미널의 모든 사용자는 실행시tty권한으로 적용되게 되는데, test2만을 직접 /etc/group 안에 tty필드에 넣게 되면 
test2만 tty의 권한을 누릴 수 있다.



ps [옵션] [유저커맨드]
ps : 자기 터미널
ps -a 다른 터미널

ps -e 모든 프로세서
ps -f 풀네임으로 표현
보통 ps -ef | grep 으로 잘 사용한다

kill -l 을 해보면 kill에 적용가능한 시그널이 적용된다. 
1번인 SIGHUP는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로드 된다. 
디폴트는 15번인 SIGTERM이 적용된다. 보통 앞에 SIG는 안써서 kill -15 또는 kill -TERM 으로 쓰기도 한다.


9 , 15는 강제로 프로세서를 내리는 것과, 프로세서의 진행을 멈추는 것 과 의 차이다, 

prstat = pop(리눅스)

ctrl + Z 는 프로세서 중단하고 여기서 나오는 번호를 가지고 
fg, bg %[번호]로 조절할 수 있다.                                     == 현재 하고있는 일을 보려면 jpbs

at 데몬
at 시간:분
at> 수행명령어
ctrl+ D 
atq 나   at-l   명령어로 예약확인



원래 pkg는 var/pkg/안에 설치되지만 pkgadd -d 옵션으로 아무 폴더에서나 설치가능하다.

pkgchk -l 패키지명
pkginfo 패키지명

패치이름 - 버전정보

Sparc장비에만 있다. 
boot PROM
NVRAM을 포함하여 목차(ROM)에 따른 값(NVRAM)으로 변환 가능
obt 명령어 : 컴퓨터진단 명령

CMOS와 비슷한 기능  +  

pkgrm 

솔라리스 10의 SMF 카페에서 찾기



서비스동작중 확인법
svcs -a |grep wc -l 
who -r ;;;;런레벨 확인법              Single Level -----> 3으로 간다.



예전 솔 9에서는부팅시 프로그램 동작시키는 방법은   2가지    

런레벨에 따라서 동작시킨다.    
런레벨과 관련된 디렉토리에 저장시킨다.(이름바꾸어서 .. S  F)

/etc/initd.conf 을 편집함으로써 동작시킨다.    ==> 수퍼데몬

프로그램동작 방식은 standalone(나중에 부팅다되고)

지금은 inet방식은 잘 안하고 런레벨 위주로 되고 있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