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비안계열 패키지 관리자 쓰다보시면 알겠지만 제대로 지워지지 않은경우(뻑나서).. 현재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싶어서 지웠는데, 낮은 버전 설치안될때!!!!! 줴기랄...

이럴때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적어보고자 한다. 
일단 내 목표는 현재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싶었기 때문에 apt-get remove로 지우고 이것저것 할거 다 해봤는데 낮은버전이 설치 안될때 설치하게끔 하는 것이므로 참고해서 보기 바란다. (기존의 상위버전을 파일하나 까지 깔끔하게 지워내는 것이 목적이 아님!!)

요기를 참고하면 대충 이해가 되지만서도 

깔끔하게 내가 정리를 하자면 간단히 3단계로 나눌 수 있겠다. 
이하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한다.
1.    /var/lib/dpkg/status 의 내용을 편집한다. 해당 프로그램 이름으로 검색해서 해당 패키지관련 사항을 모두 제거 
저만큼이 하나의 패키지 관련 내용임 말안해도 이정돈 알겠지?... 척보면 척 해야지!

2. /var/lib/dpkg/available 열어서 마찬가지로 해당 프로그램 이름으로 검색해서 해당 패키지관련 사항을 모두 제거 

3. apt-get check; apt-get autoremove 와같이 이거좀 해봐야겠다... 싶은것들 해보고  패키지 설치하면 설치된다. ㅋㅋ





AND

컴퓨터1은 xp 이고 컴퓨터 2는 우분투 10.04 이다
가끔 필요한대 삼바설정에서 유저를 등록하는걸 까먹어서 글을 남겨본다. 

1. 우분투에서 xp로 의 공유폴더 연결
기본적으로 우분투에 '위치' 메뉴에 '서버에 연결' 이있는데 고놈을 클릭하면 서비스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windows 공유를 선택하고 서버는 컴퓨터1(xp)의 ip주소를 주소창에 입력후 연결을 누르면 우분투에서 xp로 연결이 가능하다 . 물론 xp에서는 공유폴더 설정해놓고 있어야한다.

2. xp에서 우분투로의 공유폴더 연결
기본적으로 samba가 깔려있지 않으므로 우분투에서 samba를 설치해주어야한다. 설치방법으로는 우분투에서 공유폴더하나를 선택해서 우클릭후 공유설정을 클릭하면 이 폴더 공유 를 체크할 수 있다. 처음으로 실행 하게되면 맨밑에 공유만들기 라는 메뉴는 비활성화 되어 있고 ,이상한거를 설치하라고 하는데 이것이 samba 설치하는 것이다. okok 하고 암호 넣고 하면 공유폴더 만들기 가 클릭할 수 있게 활성화된다.
다른사용자가 이 폴더에 파일 생성 지우는 것 허용에 체크하고. 더불어 우분투에 등록된 사용자만 이용하게 하고자 한다면 사용자 계정이 없는 게스트 접속 허용에 체크하면  된다. 아니면 아무나 접속가능.

여기서 중요한점 이것이 끝이 아니다. samba에서 사용하게될 유저와 암호를 등록해야한다.  이것을 하지 않으면 우분투에 등록이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접근할 수 없게된다. 
콘솔에서 이렇게 쳐주자.

sudo smbpasswd -a 유저아이디(현재우분투에서사용자아이디) 

그러면 관리자암호 입력후 사용자 암호까지 입력할 수 있게된다. 

이후 xp에서 실행창이나 폴더주소창이나 아무때나 우분투 컴퓨터의 ip주소를 치면 접속가능 하다.

AND


이거땜에 삽질한거 생각하면... 별거없다.
커널 변화나 업데이트로 인한 커널모듈 재설치하라는 것이다.  나온데로 /etc/init.d/vboxdrv.dpkg-bak setup라고 치면된다.
명령어가 조금 다른것일 뿐... 아무튼 허무하게 끝났다.
참, 매번 커널 변경시 이거해줘야한다. 
한글이나 ppt excle 등등 편의를 위해 윈도를 사용안할 수 없다.
AND


다른거 다 치우고 쓰는것만 초 간단히 적어본다.

일단 tar 명령은 압축하기 전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합치는 기능을 하고,
gz, zip, bz2등은 실제로 압축을 하기위한 명령어이다.
tar에서는 gunzip, bunzip에서 압축을 풀고 묶은걸 또 푸는 번거로움을 덜고자 옵션을 활용할 수 있다. 문서 마지막 부분에 정리해두었다.


1. [파일이름].tar
압축 : tar -cvf [압축될 파일이름].tar [압축할 파일이름]
풀기 : tar -xvf [압축된 파일이름].tar

2. [파일이름].tar.gz, [파일이름].tgz, [파일이름].tar.z
압축 : tar -zcvf { [파일이름].tar.gz , [파일이름].tgz, [파일이름].tar.z } [압축할 파일이름]
풀기 : tar -zxvf { [파일이름].tar.gz , [파일이 름].tgz, [파일이름].tar.z }

3. [파일이름].tar.bz2
압축 : tar -jcvf [
파일이 름].tar.bz2 [압축당할 파일이름]
풀기 : tar -jxvf [파일이름
].tar.bz2

4. [파일이름].zip
압축 : zip [
파일이름].zip [압축당할 파일이름]
풀기 : unzip [파일이름
].zip

5. [파일이름].gz
풀기 : gunzip [
파일이름].gz

6. [파일이름].bz2
풀기 : bunzip2 [
파일이름].bz2


==============

위에 보다시피 옵션은 다 몰라도 기본 사용법은 알고있어야 한다.

그리고 초간단히 요점만 해서  tar 명령어 사용시
확장자가 gz 이면 옵션에 z가 들어가고
확장자가 bz2이면 옵션에 j가 들어간다.
압축 할 땐 옵션에 c들어가고
압출 풀 땐 옵션에 x들어간다.

압축할땐 요 형식을 기억하고 !  tar cvf [압축될 파일이름].tar [압축할 파일이름]

예를 들어 abcd.tar.gz라는 파일을 풀땐, tar xvfz abcd.tar.gz
             abcd.tar.gz라는 파일을 만들땐 tar cvfz abcd.tar.gz abcd     ㅋㅋㅋ 쉽죠잉
예를 들어 abcd.tar.bz2라는 파일을 풀땐 tar xvfj abcd.tar.bz2
             abcd.tar.bz2라는 파일을 만들땐 tar cvfj abcd.tar.bz2 abcd



AND

처음 우분투를 깔고 su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 sudo passwd 로 sudo의 암호를 지정해준다.

계속적인 root의 권한이 필요할 시에는 sudo -s라고 하여 root상태를 유지한다.
AND

이상하게 잘 기억이 되지 않는다 . 이참에 여기에 적어 놔야겠다
필자의 환경은 오직 리눅스만 깔려있는 컴퓨터이다. 리눅스 밀고 윈도 깔려니 윈도 설치cd가 안먹힐때 아예 파티션들을 다 날리는 방법이다.

우분투 cd의 복구 모드로 부팅해서 fdisk -l (소문자L)로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파티션의 번호들을 알아놓고
fdisk /dev/sda 또는 fdisk /dev/hda를 입력한다.
이후 d라는 명령어는 파티션 삭제 명령어로서 아까 봐놨던 파티션번호를 입력해서 파티션 날리고 w로 저장후 재부팅.
이후 윈도우 cd로 부팅해서 윈도우 다시깔면된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