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RTICLE OS/CentOS | 12 ARTICLE FOUND

  1. 2011.06.29 APM 설치 및 운영 가이드
  2. 2011.06.28 리눅스 RPM 명령어 간단정리 1
  3. 2011.06.28 리눅스 백업
  4. 2011.06.28 리눅스 MAC 타임
  5. 2011.06.28 LVM설정
  6. 2011.06.28 로그관련...
  7. 2011.06.28 서비스 데몬제어
  8. 2011.06.28 잡스케줄링
  9. 2011.06.15 RPM 옵션
  10. 2011.06.15 리눅스 런레벨


작성자 : 박찬주


작성자 무단 변경하지 말아주십시오. 좋은 자료라 공유합니다.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RPM 명령어 간단정리  (1) 2011.06.28
리눅스 백업  (0) 2011.06.28
리눅스 MAC 타임  (0) 2011.06.28
LVM설정  (0) 2011.06.28
로그관련...  (0) 2011.06.28
AND



rpm -qf [파일절대경로] : 이미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가?
rpm -qf /etc/passwd

rpm -qi [패키지명] : 이미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
rpm -qa httpd

rpm -qa  : 설치된 패키지의 이름이 쭉나온다
rpm -qa | grep wireshark  보통 이런식으로 활용한다. 

rpm -ql [패키지명] : 이미 설치된 패키지의 경로들을 보여준다.
rpm -qa httpd
 


rpm  -qip [rpm파일절대경로] : 앞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의 정보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M 설치 및 운영 가이드  (0) 2011.06.29
리눅스 백업  (0) 2011.06.28
리눅스 MAC 타임  (0) 2011.06.28
LVM설정  (0) 2011.06.28
로그관련...  (0) 2011.06.28
AND

리눅스 백업

OS/CentOS 2011. 6. 28. 23:38
<백업>
데이제로백업 : 초기설치후 사용자가 사용하기전, 프로그램 깔기전
고려사항
시스템 전체 용량
백업기기종류
백업자료가치
백업을 위한 시간과 재정
파일시스템백업 가능한 명령어
cp
-r : 디렉토리까지 복사
-p : 퍼미션 유지

디스크에서 제일 작은 개념은 섹터이다. 
cp명령어로 sda에서 sdb로 복사를 하게 되면 sda 의 10번섹터의 내용이 sdb 의 아무 섹터에
커널이 알아서 저장한다.
즉, 섹터번호가 유지되어야하는 정보들은 유지가 안되므로 섹터의 정보까지 유지해야하는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dd 
: 이미지를 뜬다는 개념. 섹터 번호가 유지된다. 
tar
: 테입장치에 저장하기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을때, 

cvf묶기
묶을때 절대경로로 묶지마라! 상대경로로 묶어라    ====>> 절대경로로 묶으면 나중에 풀릴때 절대경로로 풀리기때문에 덮어쓸 수도 있다. 
ex > tar cvf home.tar  /home/     ===> X
cd /home
tar cvf home.tar . ====> O


dump  /  restore   
: 저장된 파티션 전체를 백업/ 복구
/etc/dumpdates 에 각파일 시스템을 마지막으로 저장했던 시간과 저장될 때 레벨을 기록한 파일
# dump [option] [args] filesystem
options
: 0~9 레벨
-u : dump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시 /etc/dumpdates에 업데이트한다
-f : 저장될 장치나 위치 지정
# dump -0uf /fullback  /home

restore
풀  -> 1->2->3  순서대로 푼다. 
현재 디렉토리에 풀린다. 
# restore [option][args]
options
:   -r   : 전체 테이프를 읽고 복구
-f   : 덤프된 파일이나 장치 이름 지정
# restore -rf /dev/sdb 
# resotre -rf /fullback

restoresymtable 은 복구할때 생성되는 파일로서 참조하여 증분된 백업들이 풀때 참조한다.

rdump  /rrestore
: 네트워크로 백업복구

-----------------------------------------
<실습>
mkdir /backup
mount -t ext3 /dev/sdb1 /backup
mkdir /test
cp -r /home /test
dump -0uf /backup/0.dump /test     >>이미 마운트 되어있는 상태에서 /etc/dumpdates파일이 생성이 안되므로 작동이 안된다. 그래서 파티션을 따로 하나줘서 /test의 내용을 복사해놓거나
/etc/dumpdates파일이 생성되지 않도록 -u 옵션을 빼버리면된다. 

cp -r /etc /test
dump -1uf /backup/1.dump /test
rm -rf /test
restore -rf /backup/0.dump
restore -rf /backup/1.dump
rm restoresymtable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M 설치 및 운영 가이드  (0) 2011.06.29
리눅스 RPM 명령어 간단정리  (1) 2011.06.28
리눅스 MAC 타임  (0) 2011.06.28
LVM설정  (0) 2011.06.28
로그관련...  (0) 2011.06.28
AND

리눅스 MAC 타임

OS/CentOS 2011. 6. 28. 23:33
<MAC time>
time
수정한다.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생성수정,복사삭제 , 디렉토리안의 파일을 변경하면 디렉토리의
mtime이 바뀐다. 리눅스는 디렉토리도 하나의 파일로 처리하기때문.
(# ls -l   or ls -ld)

 
=====>>  우리들이 보는 시간 ls로 보는 시간은 mtime이다.
즉, 해커의 침입시에 파일을 수정하지 않고 확인만하고 나갔을 시에는 mtime 만으로는 흔적을 발견할 수 없다. 

time
엑세스     
: 디렉토리에서 cd, 파일에서 cat,  more (cat >> 처럼 append 는 M time만 수정된다)
time
속성변경        
:  

MAC타임중 C는 OS따라 다르다

윈도우는 C는 creation 타임

리눅스나 유닉스는 inode change 타임

chmod, chown을와 같은 inode에 저장된 정보가 바뀌었을시

( # find / -atime -5 -ls ;5일전부터 지금까지
-ctime 0 -ls ;지금부터 24시간 전까지  
-mtime +-0 -ls :24시간 이전의 모든   )
 


# ls -Ralt mtime
기준으로 정렬
# ls -Raltu atime

    # ls -Raltc   ctime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RPM 명령어 간단정리  (1) 2011.06.28
리눅스 백업  (0) 2011.06.28
LVM설정  (0) 2011.06.28
로그관련...  (0) 2011.06.28
서비스 데몬제어  (0) 2011.06.28
AND

LVM설정

OS/CentOS 2011. 6. 28. 23:28
LVM
일반 회사에서는 하드웨어 레이드를 사용하고 소프트웨어 레이드는 사용안한다. 
소프트웨어 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는 OS 미러링할때이다.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크안에 쪼개는거 파티션
여러개의 물리적인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만들어 쪼개는 거면  볼륨

linux volume manager
solaris volume manager

일반적인 하드디스크 추가 개념
fdisk > mkfs.ext3 > mount > 

LVM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1개의 파일시스템으로 사용

PV 파티션의 개념에서 volume의 개념으로
VG LV를 만들기 위해 큰 그룹을 생성하는개념

LV 논리적인 볼륨 . 만들어낸거

PE PV는 일정한 크기의 PE를 가진다. 
LE LV는 일정한 크기의 LE를 가진다. 

설정방법
하드추가 > 파티션만들기
 
PV만들기(파티션의 개념에서 volume의 개념으로) > PV확인(pvscan)
 
VG만들기( LV를 만들기 위해 큰 그룹을 생성하는개념) > 생성된 볼륨그룹에대한 정보출력(vgdisplay) > PE LE정보확인가능 >
 
VG활성화(쓸수있게, 삭제시는 비활성화하고)  >  
 
LV만들기 >
 
만들고 나서 남은 VG의 용량확인후 >
 
새로운 LV만들기 >


////////////////////////////////////////////////////////////////////////////////////// ///////////////////////////////////////////
새로운 하드 추가후 재부팅
fdisk -l 로 장치확인 또는 cat /proc/partitions 로 확인가능
fidsk /dev/sdb1
fidsk /dev/sdc1
모두 하나의 주파티션으로 생성
각 디스크를 linux nateve[83]에서 linux LVM[8e]로 변경

Physical Volume 만들기 LVM 일반 회사에서는 하드웨어 레이드를 사용하고 소프트웨어 레이드는 사용안한다. 소프트웨어 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는 OS 미러링할때이다.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크안에 쪼개는거 파티션 여러개의 물리적인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만들어 쪼개는 거면 볼륨 linux volume manager solaris volume manager 일반적인 하드디스크 추가 개념 fdisk > mkfs.ext3 > mount > LVM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1개의 파일시스템으로 사용 PV 파티션의 개념에서 volume의 개념으로 VG LV를 만들기 위해 큰 그룹을 생성하는개념 LV 논리적인 볼륨 . 만들어낸거 PE PV는 일정한 크기의 PE를 가진다. LE LV는 일정한 크기의 LE를 가진다. 설정방법 하드추가 > 파티션만들기 > PV만들기(파티션의 개념에서 volume의 개념으로) > PV확인(pvscan) > VG만들기( LV를 만들기 위해 큰 그룹을 생성하는개념) > 생성된 볼륨그룹에대한 정보출력(vgdisplay) > PE LE정보확인가능 > VG활성화(쓸수있게, 삭제시는 비활성화하고) > LV만들기 > 만들고 나서 남은 VG의 용량확인후 > 새로운 LV만들기 > ////////////////////////////////////////////////////////////////////////////////////// /////////////////////////////////////////// 새로운 하드 추가후 재부팅 fdisk -l 로 장치확인 또는 cat /proc/partitions 로 확인가능 fidsk /dev/sdb1 fidsk /dev/sdc1 모두 하나의 주파티션으로 생성 각 디스크를 linux nateve[83]에서 linux LVM[8e]로 변경 Physical Volume 만들기 pvcreate /dev/sdb1 pvcreate /dev/sdc1 pvcreate /dev/sdc1 PV확인 pvscan ;; 현재 어떤 장치가 어느 VG에 속했는지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확인가능 Volume Group 생성 vgcreate labVG /dev/sdb1 /dev/sdc1 (Volume Group 제거 : 활성화되었으면 비활성화 후 vgremove labVG Volume Group에서 PV 추가 : vgextend labVG /dev/sdd1 Volume Group에서 PV 제거 : vgreduce labVG /dev/sdd1) Volume Group 정보 자세하게 보기 vgdisplay -v 볼륨 그룹에 Volume Group 활성화 vgchange -a y labVG (vgchange -a n labVG 비활성화) Logical Volume 만들기 lvcreate -L 150M -n labLV labVG ;; labVG에서 labLV를 만드는데 크기는 150M이다. (Logical Volume 삭제하기 : 마운트 해제하고(umount /dev/labVG/labLV) 제거 lvremove /dev/labVG/labLV Logical Volume 확인 lvscan ;;현재 어떤 로지컬 볼륨이 있는지 확인가능 Volume Group의 남은공간에 Logical Volume 만들기 현재 남은용량확인 후 추가 vgdisplay lvcreate -L 48M -n labLV-00 labVG Logical Volume 의 공간을 늘이기 & 줄이기 Volume Group의 남은 공간을확인하고 추가시킨다 lvextend -L +50M /dev/labVG/labLV Logical Volume의 할당된 공간을확인하고 줄인다. lvextend -L 50M /dev/labVG/labLV 삭제는 LV제거 VG제거 PV제거 하면된다. 언마운트후 lvremove /dev/labVG/labLG Volume Group 삭제 vgremove labVG pvremove /dev/sdb1 pvremove /dev/sdc1artitions 로 확인가능 fidsk /dev/sdb1 ********************************************* 참고 RAID1 lvcreate -m1 -L 100M -n mirroredLV labVG Raid(stripe) lvcreate -i2 -L 100M -n stripedLV labVG
pvcreate /dev/sdb1
pvcreate /dev/sdc1
pvcreate /dev/sdc1
PV확인
pvscan
;; 현재 어떤 장치가 어느 VG에 속했는지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확인가능

Volume Group 생성
vgcreate labVG /dev/sdb1 /dev/sdc1
(Volume Group 제거 : 활성화되었으면 비활성화 후  vgremove labVG
Volume Group에서 PV 추가 : vgextend labVG /dev/sdd1 
Volume Group에서 PV 제거 : vgreduce labVG /dev/sdd1)
Volume Group 정보 자세하게 보기
vgdisplay -v 
볼륨 그룹에 
Volume Group 활성화
vgchange -a y labVG
(vgchange -a n labVG  비활성화)

Logical Volume 만들기 
lvcreate -L 150M -n labLV labVG        
;; labVG에서 labLV를 만드는데 크기는 150M이다. 
(Logical Volume 삭제하기 : 마운트 해제하고(umount /dev/labVG/labLV)  제거 lvremove /dev/labVG/labLV

Logical Volume 확인
lvscan
;;현재 어떤 로지컬 볼륨이 있는지 확인가능
 
Volume Group의 남은공간에 Logical Volume 만들기 
현재 남은용량확인 후 추가
vgdisplay
lvcreate -L 48M -n labLV-00 labVG
Logical Volume 의 공간을 늘이기 & 줄이기
Volume Group의 남은 공간을확인하고 추가시킨다
lvextend -L +50M /dev/labVG/labLV
Logical Volume의 할당된 공간을확인하고 줄인다.
lvextend -L 50M /dev/labVG/labLV
삭제는 LV제거 VG제거 PV제거 하면된다. 

언마운트후

lvremove /dev/labVG/labLG

Volume Group 삭제
vgremove labVG 

pvremove /dev/sdb1
pvremove /dev/sdc1artitions 로 확인가능
fidsk /dev/sdb1


*********************************************
참고
 
RAID1
lvcreate -m1 -L 100M -n mirroredLV labVG
Raid(stripe)
lvcreate -i2 -L 100M -n stripedLV labVG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백업  (0) 2011.06.28
리눅스 MAC 타임  (0) 2011.06.28
로그관련...  (0) 2011.06.28
서비스 데몬제어  (0) 2011.06.28
잡스케줄링  (0) 2011.06.28
AND

로그관련...

OS/CentOS 2011. 6. 28. 23:25

Log
시스템 로그는 크게 두개의 데몬으로 관리
Syslogd
시스템로그
/etc/syslog.conf  에서 구성
syslog.conf에서 로그파일의 위치를 지정하는것이다. 
Klogd
커널 메세지 로그

System Logging
/var/log/dmsg
Kernel 부팅메세지          ;;  # dmesg 로 확인
/var/log/messages
일반적인 시스템 에러 로그 메시지
Only root readonly
커널관련 로그 말고 다른거 기록. 
/var/log/mailog
메일시스템로그
/var/log/secure
보안정보, 시스템 로그인과 네트웍 연결정보 기록
///////추가
<로그>
boot.log
: 부팅 및 각종 서비스 시작 및 중지에 대한 로그
cron.log
: cron 활동에 관련된로그
dmseg
: 시스템 부팅에 관련된 커널의 로그
lastlog
: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 기록 로그( # last )
messages 
: 커널 에러, 재부팅 메시지, 로그 실패등 시스템 콘솔에서 출력된 결과를 기록
syslog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 또한 기록
secure
: 인증 및 보안 관련된 로그(telnet, ssh...)
wtmp
: 사용자 로그인, 로그아웃 시간, 시스템 종료시간 기록( # last)
utmp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한 기록
(/var/run/  디렉토리에 존재함, #w  또는 # who)

<로그확인 명령어>
w or who 
: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를 확인
lastlog
: 사용자 별로 마지막에 로그인한 시간
last
:사용자의 로그인/로그아웃 시간 정보
(# last userA )
lastb
; 로그인에 실패한 경우 정보가 저장됨리눅스 xinetd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MAC 타임  (0) 2011.06.28
LVM설정  (0) 2011.06.28
서비스 데몬제어  (0) 2011.06.28
잡스케줄링  (0) 2011.06.28
RPM 옵션  (0) 2011.06.15
AND

서비스 데몬제어

OS/CentOS 2011. 6. 28. 23:24
<서비스 데몬제어 > 

/etc/init.d 에 가보면 서비스 실행파일이 있다.  
/etc/rc.d/rcx.d/     안에서 K와 S로 시작하도록 분류하는데, 이 파일들은 /etc/init.d/ 안에 실행파일들을 링크로 가리키고있다. Run Level 별로 실행여부 결정하도록 링크로 연결만시켜논것임


# /etc/init.d/서비스데몬이름 status|start|stop|restart

또는

# service 서비스데몬이름 status|start|stop|restart

현재 서비스가 실행되고있는지 확인
service anacron status
서비스 재시작 멈춤
service anacron start| restart | stop

두 방법중 위의 방법인 절대경로로 손에 익혀두자.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VM설정  (0) 2011.06.28
로그관련...  (0) 2011.06.28
잡스케줄링  (0) 2011.06.28
RPM 옵션  (0) 2011.06.15
리눅스 런레벨  (0) 2011.06.15
AND

잡스케줄링

OS/CentOS 2011. 6. 28. 23:22
잡스케줄링
sed , cut,  awk 

df - h 명령어에서 특정 필드만 짤라서 결과물을 다시 만드는 스크립트를 짤때, sed를많이 쓴다. --> 스크립트를 짠다. 
<cron>
주기적 반복적으로 일을 할 때 수행, 
분, 시, 일, 월, 주
crond는 /etc/cron.allow    와 /etc/cron.deny를 생성해서 유저아이디를 한줄당 하나씩 해놓으면 된다. 중복시에는 allow 가 우선(리스트 프리빌리지- 최소한의 권한)  >>보안에좋다.allow만되고다른건안됨
allow deny 둘다 없을땐 root만 cron을 사용가능 . allow가 우선시되고, deny만있으면 해당사용자는 금지, allow만있으면 해당사용자만 허용, 둘다 있으면 allow만 허용. 똑같은 말이다.
contab -e로 편집하고 
contab -l로 리스트보고
crontab -r하면 다지워진다!!! 그냥 이건잊어버리고 crontab -e명령어로 편집하자

편집한 내용은 /var/spool/cron/사용자명   으로 저장됨.텍스트파일


 
*/2 * * * * 명령
위의 것은 매 2분(1:02분, 1:04분, 1:06분, 1:08분...)마다 실행된다

*/1 * * * * 이나 * * * * * 이나 똑같다. 

 
<at>
일시적으로 한번만 쭉~여러개가 수행될 때 사용한다
# at 1200  
> date >/dev/pts/2
> ctrl+ d
atq 로 확인
/var/spool/at/ 안에 파일로 저장되어있음, 열어서 마지막 라인에 있다. 
 
<anacrom>
1 65 1일 이내에 cron이 수행못한게 있으면 65분 후에 실행    == 1일 내로 cron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해서 안했으면 실행 이런개념
7 60 7일 이내에 " " 60"
30 60 30일 " " " " " " " "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관련...  (0) 2011.06.28
서비스 데몬제어  (0) 2011.06.28
RPM 옵션  (0) 2011.06.15
리눅스 런레벨  (0) 2011.06.15
네트워크 설정하기  (0) 2011.06.15
AND

RPM 옵션

OS/CentOS 2011. 6. 15. 19:37
rpm -qf [파일절대경로] : 이미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가?
rpm  -qip [rpm파일절대경로] : 앞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의 정보
rpm -qi [패키지명] : 이미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
rpm -qa  : 설치된 패키지의 이름이 쭉나온다
rpm -qa | grep wireshark  보통 이런식으로 활용한다.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데몬제어  (0) 2011.06.28
잡스케줄링  (0) 2011.06.28
리눅스 런레벨  (0) 2011.06.15
네트워크 설정하기  (0) 2011.06.15
root 비밀번호 까먹었을때, 비밀번호 우회하기  (0) 2011.06.15
AND

리눅스 런레벨

OS/CentOS 2011. 6. 15. 19:23
/etc/initab파일에서 초기부팅화면설정가능

id:5:initdefault:

init 3은 콘솔, init5는 그래픽 

런레별별로 알아두기
0 : 시스템종료
1 : 싱글모드 , 패스워드분실시 , 그래서 grub 패스워드 필요
2 : 네트워크 기능이 없는 다중사용자모드
3 : 다되고 콘솔모드
4 : 예약된거라 사용안함
5 : 다되고 그래픽모드
6 : 재부팅
현재 런레벨 확인명령어 =      # runlevel

chkconfig --list  
 =  각 런레벨별 서비스의 활성여부 확인

 
/etc/rc.d/rc 디렉토리별 S와 K에 따라 활성여부 결정됨, 
ntsysv  특정 서비스 실행 해제
파일직접수정해도 가능
chkconfig --level 5 yum-updatesd on

그래서 쉘에서 init 6하면 재부팅하고
init 3하면 콘솔로 변한다. 이때 runlevel 해보면 5    3 이라고 나오는데, 이건 5에서 3으로 런레벨이 변했다는 뜻이다.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데몬제어  (0) 2011.06.28
잡스케줄링  (0) 2011.06.28
RPM 옵션  (0) 2011.06.15
네트워크 설정하기  (0) 2011.06.15
root 비밀번호 까먹었을때, 비밀번호 우회하기  (0) 2011.06.15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