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13 공부정리, solaris 보안셋팅 및 , 디스크 full 시 교체, telnet관련, 가상랜을 이용한 네트워크 추가 및 인터넷 엑세스
OS/Solaris 2011. 5. 13. 16:28시나리오
솔라리스 두개를 같은 네트워크 대역으로 두고 솔라리스 둘다의 default router address는 래드헷의 가상 네트워크 주소를 향하게 한다
신호를 받은 래드헷의 가상 랜 카드는 실제랜카드로 인터넷에 엑세스 하게된다.
결과적으로 솔라리스에서도 인터넷 가능하도록해야한다
이런식으로 sol 을 계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음.
셋팅값
Sol 1
신호를 받은 래드헷의 가상 랜 카드는 실제랜카드로 인터넷에 엑세스 하게된다.
결과적으로 솔라리스에서도 인터넷 가능하도록해야한다
이런식으로 sol 을 계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음.
셋팅값
Sol 1
ip 100.100.23.10
default 100.100.23.1
default 100.100.23.1
Sol 2
ip 100.100.23.20
default 100.100.23.1
default 100.100.23.1
RedHat eth0
ip 200.200.200.94
default 200.200.200.1
default 200.200.200.1
RedHat eth0:1
ip 100.100.23.1
default 200.200.200.1
default 200.200.200.1
레드햇 명령어
# netconfig -d eth0
eth0 물리랜 설정
# netconfig -d eth0:1
가상랜설정
# etc/rc.d/init.d/network restart
# echo "1" > /proc/sys/net/ipv4/ip_forward
#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j MASQUERADE
# iptables -t nat -F ////초기화 윗줄을 두번이상했을때
1.각각 솔라리스와 레드헷 ping확인
2. 인터넷이 되기 위해선 추가적으로 해야할 것이 있다
1.각각 솔라리스와 레드헷 ping확인
2. 인터넷이 되기 위해선 추가적으로 해야할 것이 있다
솔라리스에서
# ifconfig [interfacename] inet [ip address] netmask [netmask] up
/etc/hosts 수정
/etc/defaultrouter 수정
# ifconfig [interfacename] inet [ip address] netmask [netmask] up
/etc/hosts 수정
/etc/defaultrouter 수정
/etc/resolv.conf
;;; 실제 dns주소
/etc/netmasks 수정
*** 이렇게 해서 인터넷이 되야 정상인데 안된다.ㅠ
하드디스크 /var 공간이 다 찾을때 새로운 하드를 추가하여 고대로 백업하는거 === 해결과정
/dev/dsk/c0d0s3이 /var 에 마운트 되어있을때
다운로드나 압축풀때 메일 프린트 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가 /var
새로운 하드 추가후
#devfsadm
#format 으로 장치 네임확인 및 label로 저장후 나오기
#newfs 로 장치에 파일시스템 생성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후 방금 생성한 파일시스템 마운트
#devfsadm
#format 으로 장치 네임확인 및 label로 저장후 나오기
#newfs 로 장치에 파일시스템 생성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후 방금 생성한 파일시스템 마운트
# tar cvf - . | (cd /migration ; tar xvf - )
혹은
# ufsdump 0f /var | (cd /migration ; ufsrestore -rf - )
띄어쓰기 조심
용량확인
# du -sh /var
# du -sh /migration
부팅시 접속가능하도록 확
# vi /et/vfstab
시스템내에 계정 정보 확인
# logins
옵션
-p ; 패스워드가 없는 사용자 알려줌
-l : id 명령어와 같음
/var/am/loginlog 존재유무 확인 없으면 만들기
# touch /var/adm/loginlog
# chmod 600 loginlog
# chown root:sys loginlog
# vi /etc/default/login
내용중 RETRIES=5 ; 5회이상 틀리면 로그
; 원격에서 접속시 5번이상 암호 틀리면 loginlog에 저장
근데 한번만 틀려도 저장된다.....????
원격에서 root접속 막기
/etc/default/login
내용중 CONSOLE=/dev/console 주석처리하면 root 접근가능
SU관련
관련파일
/etc/default/su
CONSOLE=/dev/console 부분이 주석처리 되어있음
이것을 제거하게 되면 /var/adm/sulog에 su 를 사용한 f정보를 남기게된다.
'OS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RAM과 PROM의 차이 (0) | 2011.08.05 |
---|---|
HOW-TO Configuration zone file (0) | 2011.05.11 |
0511 정리자료 DNS-zone 세팅, DNS구성 및 시나리오 작성 (0) | 2011.05.11 |
솔라리스 10 웹서버 구축하기. (0) | 2011.05.09 |
솔 10 dhcp 클라이언트 셋팅 . 자동 ip 받아오기 (0) | 201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