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zone파일 작성시 주의 사항(필독)
@(origin)의 역활
@는 named.conf에서 zone "rootman.co.kr" 로 지정해준 rootman.co.kr. 을 의미한다.
zone 파일 설정시 루트 도메인 ( . ) 의 중요성.
흔히 우리가 사용하는 도메인 주소는 aaa.com , bbb.co.kr 과 같이 끝에 루트도메인( . )을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aaa.com 과 bbb.com 의 정확한 도메인 주소는 aaa.com. , bbb.co.kr. 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루트 도메인( . )은 최상위 도메인을 의미하는데 즉 .com .net .org 등의 상위 도메인이다.
도메인을 이용해서 특정 호스트로 접속할 때 특별히 루트 도메인( . )까지 표기 하지 않아도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네임서버 설정시 zone파일을 작성할 때는 꼭 최상위 도메인을 붙인 완전한 도메인 주소를 사용해야 된다.
예들 들어 ns1.rootman.co.kr 이라는 주소를 표기 할 때는 꼭 제일 끝에 루트 도메인( . )을 붙여 줘야 된다.
만약 루트 도메인( . )을 붙이지 않으면 그 도메인을 완전한 도메인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그 도메인 두에 @에 해당하는 도메인을 덧 붙여주게 된다. 즉 루트 도메인으로 마무리 되지 않은 도메인은 @(origin)의 호스트로 인식하는 것이다.
ns1.rootman.co.kr -> ns1.rootman.co.kr.rootman.co.kr
위와 같이 "ns1.rootman.co.kr " 은 "ns1.rootman.co.kr.rootman.co.kr"로 작성한 것과 같은 영향을 미친다.
뒤에 추가된 rootman.co.kr은 @ 에 해당하는 도메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linux.rootman.co.kr 이라는 서브 도메인을 zone 파일에서 설정할 때 "linux" 만 적어도
"linux.rootman.co.kr." 을 적은 것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TTL 43200
bind 9 의 zone파일 설정시 주의 해야 될 것은 꼭 zone파일의 첫줄에 TTL 값을 설정해야 된다는 것이다.
bind 9 이전 버젼에서는 TTL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네임서버 가동시에 default값으로 자동 설정 되었는데 bind 9에서는
꼭 zone파일의 첫줄에 꼭 설정해야 된다.
TTL은 다른 네임서버를 제어 하는 부분인데 특정 네임 서버가 rootman.co.kr의 네임 서버에 www.rootman.co.kr을 질의하고 그 정보를 가져 간 후 그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시간을 지정해 주는 것이다.
한가지 예로 어떤 사용자가 한국 통신의 DNS(168.126.63.1)를 이용해서 rootman.co.kr을 접속할 경우 한국 통신의 DNS는 rootman.co.kr의 네임 서버에 rootman.co.kr의 IP를 물어 보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준 후 그 정보를 자신도 보관한다.
rootman.co.kr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한국 통신 DNS는 다음 부터 rootman.co.kr에 대해 사용자가 물어 보면 그 때부터는 보관된 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바로 이 TTL값이 한국 통신 DNS가 한번 퍼 간 정보를 얼마 동안 보관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자주 올라오는 질문 중에 네임 서버의 zone파일을 수정했는데 계속 전에 설정했던 값으로 적용된다고 질문을 하시는 분이 많은데 바로 그 이유도 클라이언트에서 이용하는 DNS가 아직 수정 전에 설정했던 값을 보관 하고 있어서 새로운 정보를 해당 네임 서버에서 퍼올 때 까지 이전의 설정값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때문이다.
자주 네임 서버 수정을 하는 시스템에서는 이 값을 줄여서 사용하면 되는데 너무 작은 값을 설정하면 너무 자주 네임서버에
질의 해 오기 때문에 네임 서버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2 . zone 파일 설정 형식
host_name [TTL] class record_type data
--->> zone 파일의 모든 행은 위의 형식을 따른다.
host_name
설정하고 싶은 호스트 네임을 지정해 주면 된다. 꼭 호스트 네임 설정시 루트 도메인( . )에 대해 주의를 하세요.
host_name이 생략된 행은 바로 윗 행의 host_name 설정을 적용 받는다.
TTL
zone파일의 첫행에 default값을 지정했기 때문에 생략 가능한다. ($TTL 43200)
루트맨의 zone 파일 설정에는 모두 생략되어 있다.
class
IN은 internet 클래스를 가리키는데 저도 IN 이외에 다른것을 설정해서 사용한 적이 없습니다.
record_typ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