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 카드 마스크(wildcard mask)란 특정 비트와의 일치 여부를 지정할 때 사용되는 표기법 이다. 와일드 카드 마스크를 적절히 사용하면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아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서,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비트는 0으로 지정하고, 일치 여부와 상관없는 비트는 1로 지정한다. 1.1.1.2 : 0000 0001 , 0000 0001, 0000 0001, 0000 0010 1.1.1.3 : 0000 0001 , 0000 0001, 0000 0001, 0000 0011 지금 우리는 IP주소나 네트워크 주소의 특정 영역을 가리키기 위한 wild card값을 찾아보는 중이다. 1.1.1.1 : 0000 0000 , 0000 0000, 0000 0000, 0000 0011 ===> 0.0.0.3 1.1.1.2 : 0000 0000 , 0000 0000, 0000 0000, 0000 0011 ===> 0.0.0.3 1.1.1.3 : 0000 0000 , 0000 0000, 0000 0000, 0000 0011 ===> 0.0.0.3
IP 주소가 1.1.1.1~ 1.1.1.3 인 pc를 access-list에 적용시키고자 할때 wildcard를 쓰면
한줄에 추가할 수 있다 .
라우터에서 ACL을 처리할때 wildcard를 사용하게 되는데 특정 영역대의 IP또는 Network 주소를 지칭할때 IP주소별로 한줄한줄 정책을 입력하는 것이아니라 네트워크 주소와 wildcard를 써서 한 줄에 나타낼 수 있다.
일단, 여기서 wild card의 원리를 알아보자
예시 > 1.1.1.1 ~ 1.1.1.3 의 주소를 한번에 표기하기 위하여 위하여 wild card주소가 필요하다 .
wild card는? 네트워크 주소는 1.1.1.0 이다.
보통 , 1.1.1.0 0.0.0.255 의 의미는 1.1.1. 로 시작하는 모든 IP 주소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러한 wild card를 이용하면 특정 영역의 IP주소 또는 네트워크 주소를 가리키는 것이 가능하다.
ex > 172.16.0.0 0.0.255.255의 의미는 172.16. 으로 시작하는 모든 IP 주소라는 의미이다.
wild card 표기법을 살펴보자.
위의 IP 주소를 2진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1.1.1 : 0000 0001 , 0000 0001, 0000 0001, 0000 0001
그러므로 위의 1.1.1.1 ~ 1.1.1.3에서 빨간부분은 안바뀌는 부분, 까만부분은 바뀌는 부분이다. 3개를 동시에 생각해야 하므로 1.1.1.1에서도 바뀌는 부분은 1 하나만이 아니라 01이 되는것이다.
wild card는 이 부분을 살펴보면된다.
즉, 안바뀌는 부분인 빨간색 부분은 0으로 대체하고 , 바뀌는 부분인 까만색은 1로 대체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다.
Wild Card = 0.0.0.3
세가지 IP주소 모두 0.0.0.3 이것이 1.1.1.1 ~ 1.1.1.3 까지를 가리키는 wild card이다.
표기는 [네트워크주소][wild card] = . 1.1.1.0 0.0.0.3 이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주소를 예로 들어보자
172.16.0.0 0.0.255.255의 의미는 172.16으로 시작하는 모든 IP 주소라는 의미이다.
발신지가 10.1.2.0/24이거나 10.1.3.0/24인 네트워크를 모두 차단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Router에서 설정하는것이다.)
access-list 2 deny 10.1.2.0 0.0.0.255
access-list 2 deny 10.1.3.0 0.0.0.255
그러나 다음과 같은 와일드 카드 마스크를 적용하면 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access-list 2 deny 10.1.2.0 0.0.1.255
그 이유를 살펴보자. 10.1.2.0 부터 10.1.3.0까지를 2진수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10.1.2.0 : 00001010. 00000001. 00000010. 00000000
10.1.3.0 : 00001010. 00000001. 00000011. 00000000
직관적으로 이해해서
여기서 빨간 숫자들은 모두 같은 부분 , 다른말로하면 바뀌면 안되는 부분이고
찐한 숫자들은 앞으로 바뀌어질 가능성이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두 IP주소를 동시에 나타내주는 Wild Card는 빨간부분은 0으로 까만부분은 1로
0000 0000. 0000 0000. 0000 0001. 1111 1111 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10진수로 바뀌면 다음과 같다.
0 . 0 . 1 . 255
[출처] [펌] IP 와일드카드 비트 계산|작성자 ㅇ인연
'네트워크 > 라우터 & 스위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17정리 , NAT셋팅 및 VLAN 설정 (0) | 2011.05.18 |
---|---|
0516 정리,, 이전 내용 복습 , ACL 라우터 설정 (0) | 2011.05.17 |
0414 공부정리 (0) | 2011.04.14 |
0413 공부정리 (0) | 2011.04.13 |
0412 공부정리 (0) | 201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