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패킷 종류 별 동작 방식

HELLO패킷
10초 대기 40초 삭제

ABR ASBR 개념알기

class_3 ip routing,pdf파일 보기

area안에 255개 까지 최대 

OSPF area 종류알기
backbone(core)
stub, totaly stub  -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줄일 수 있다. 차이 알기 그림보기
DR  & BDR
한 area안에서 LSA 정보를 주고 받으며 정보교환을 한다. Link state adverment
BDR은 DR이 다운되었을때 동작한다. 문제 생기기 전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DR선출
1. router 우선순위 비교 높으면 당첨 (  0일경우는 반장, 부반장 선거에 참여 안하겠다는 뜻)
2. 같으면 router ID비교
3. 한번 선정되면 안바뀐다.

debug ip ospf adj 를통해 DR/BDR 을 관ㄹ찰 가능하다.

ABR,, DR ... BDR라우터는 일반장비보다 스팩이 큰 걸 사용한다. 
부팅이 일반적으로 스팩과 모듈이 적은 장비가 빨리 되므로 여러대의 장비가 있을때 자기가 원하는 장비가 DR이 되도록 우선순위나 부팅순서를 조절해야한다.

원하는 라우터를 DR ,BDR  로 만들기, 원치않는 라우터를 DR, BDR만들지 않기
원치 않는 라우터의 우선순위를 0으로 만들어 선출에 참여하지 않게 한다. 
priority 값 바꾸기 
해당라우터에서 
sh ip ospf int fa0/0    로 확인후
int fa0/0 에서 ip ospf priority 로 바꿈  


OSPF동작순서
키고 나서 down state (sh ip ospf negihbor로 확인)-->  
네트워크선언 (ip주고 하면)   -->  
헬로패킷 왔다깠다  --->  로
한쪽이 알고 다른쪽은 모를때 : init state -->  
한쪽이 이웃을 추가하고 그때 상대 방한테 헬로 한다-- >  
둘다 이웃을 안다. 이때 two -way state상태이다. ---->
다시한번 핼로 얘기해서 DR, BDR을 만든다.  -->
DBD를 얘기한다.  -->
변화된 네트워크를 찾고 있으면 업데이트 없으면 교환  -->
전체가 동일한상태 : full  -->  
상태가 full이 되야지 계산을 시작한다.

OSPF명령어 확인하기. pdf확인   설정후  다음명령어로 정보들 확인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함
 sh ip route
sh ip protocols
sh ip ospf 
sh ip ospf interface s1/0
sh ip ospf neighbor
sh ip ospf databse




OSPF라우터설정후 확인해 볼거
Router ID
DR, BDR라우터가 누구인지?
Interface에 해당하는 serial 과 fastethernet에 대한 network type과 cost값 확인

계속확인
pc,router은 1,2 먼저 보내고 3,6 받고
sw,hub  는 1,2  먼저 받고   3,6 보내고


* 라우팅 테이블에 안올라오면 네이버 확인해봐라   --> 네이버 안올라오면 
각 라우터에 네이버가 몇개 이고 어떤것인지 알아야 한다. 알려면 각 라우터의 네트워크 ID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OSPF활성화 할때 IP주소가 없거나 활성화된 인터페이스가 없으면 작동 불가
가장 높은 ip주소를 가진 인터페이스의 주소가 router ID됨

선택기준 (당연 활성화된것중에서)
1.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여준 주소 
2. 가상인터페이스 
3. 물리 인터페이스중 가장 높은거 
 



라우터 ID 는 DR과 BDR을 선출하는 데 사용됨
Hello패킷으로 이웃을 맺은후 다시 헬로 페킷을 발송하여 DR BDR라우터를 선출

우선순위 변경
sh ip ospf int fa0/0 으로 우선순위 및 정보확인 후 
해당 인터페이스 들어가서 ip ospf priority 30 으로 변경



cost =100M /bandwidth = 10^8 /BW

OSPF metric변경cost로로
OSPF  = cost = 10^8 / BW

인터페이스 내에서 
1.bandwidth변경
conf t
int s1/0 
bandwidth 1544   (단위k)BDR 선출
end

변경된 bandwidth 확인        :   sh int s1/0
변경된 cost확인                :   sh ip ospf int s1/0
 
sh ip route에서 metric이 변한것을 확인           [110/65] 
지나는 경로 확인 컴퓨터에서 traceroute IP
 
2. cost값 자체를 변경
C_R에서 
conf t
int s1/1
ip ospf cost 10    
end
 
D_R에서 도해줘야함

conf t
int s1/1
ip ospf cost 10
end

지나는 경로 확인 해 보기
 

정리 
sh ip ospf ? 
board.....경계라우터가 누구인가?
database ..    여러 정보를 나타내준다. 
Router link states(area 10) : area 10안에 몇대 있다.는 정보
Net Link states (area ):    DR
summary net link states(area 10) : Link ID에 해당하는 라우터를 ADV router이 다른 area에  광고해준다는 정보
  
RIP은 hop만 본다 . 
OSPF cost로 본다. cost계산법은??확인   10초에 한번씩 헬로~ 인사하고 . 변화했을때는  바로 가르쳐준다

네이버 맺는 조건 :  마스크, MTU ping  
DR,BDR 선출    이더넷 환경에서 선출 . 시리얼에서는 서로간에 선출안함


변화가 있으면 DR과 BDR에 전달하면 DR은 다른 라우터에게 전달하고 , BDR은 응답하지 않고 가지고만 있는다. 
변화된 장비는 224.0.0.6으로 전달한다. 이는 DR BDR만이 받는다. 응답은 224.0.0.5로 전달하는데 이는 같은 area안에 모두 받아라



area에 장비를 추가시켜서 라우팅 정보가 바로 바로 업뎃되는지 확인한다. 


다음의 용어 확인
SPF
DR
BDR
ABR
ASBR
Stub Area
LSA 


공부할것
OSPF 셋팅 방법
OSPF 셋팅후 튜닝할것
OSPF 셋팅후 확인 할것들
OSPF의 처음 형성시 패킷의 흐름 과 값
OSPF의 상태 변화시 패킷의 흐름 과 값

_+__------------------------------------------------------------------------------------------_+__------------------------------------------------------------------------------------------


IGIP     RIP 과 유사함 90초마다 update  클래스풀방식전달... 요즘 거의 사용안함

EIGRP     distance vector 방식이지만 OSPF 의 특징도 있다. 변화하는 즉시 알림
옆사람한테 물어본다... 이거알아? 하고.
5가지 패킷 사용(hello, update, query, reply ack)
전달시 소문내듯이 전달한다. DUAL 방식으로
classful/  classless가능함(auto-summary)
메트릭 표기 : igrp 보다 8bit 더 사용함.  (igrp metric * 256)

hello -  neighbor - 이웃정보를 테이블에 모아놓고 -update - topology 형성 -제일좋은 겨로만 라우팅테이블에 올림
OSPF는 라우팅 테이블에 올라간 정보가 변화가 생기면 다시 계산함
EIGRP는 이미 형성된 topology를 바탕으로 두번째 값을 바로 가져 온자 

OSPF는 소구룹(area)을 형성하고 DR,BDR을 통해 트레픽을 줄이는 방식이었는데 
EIGRP는 광케이블의 활용으로 대그룹만 있음

설정방법
sh ip route connected 로 확인후 
conft router eigrp [as_number]      ;   as번호가 다르면 이웃을 맺지 않음
network [N_address]                 : classful
network [N-addreaa] ] [wildmask] : classless 
 end
 
확인
sh ip eigrp ?
traffic 전달 왔다갔다 패킷들
neighbors 핼로 패킷 시간 확인,,, 5초마다,,,, 15초안오면 삭제
interface  연결된 인터페이스들
topology   전체 토폴로지 확인가능

sh ip eigrp topology
P 192.168.0.0/26, 1 successors, FD is 30720  (FD 는 피지블 디스턴스 :내 라우터부터 목적지까지 총거리)
         via 192.168.0.65 (30720/28160), FastEthernet0/0
via 192.168.0.65 (40720/28160), FastEthernet0/0
위에서 서 두개의 via중 작은거를 successors로 택한다.

FD는 옆에 라우터는 자기가 알고있는 값을 그대로 전달해준다. 받은 나는 지나 온 경로의 값과 받은 값을 더해서 계산

r1-------(20)-------r2--------(10-)---------r3--------------A
AD 1
 
r2의 토폴로지 테이블에는   (10+1/1)
r1의 토폴로지 테이블에는  ( 20+11/11)
 
via로 표현된 여러개가 있을경우 적은것이 routing table로 올라간다.


 

'네트워크 > 라우터 & 스위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 ACL설정시 wild card사용법  (0) 2011.05.17
0414 공부정리  (0) 2011.04.14
0412 공부정리  (0) 2011.04.13
0411 공부정리  (0) 2011.04.13
0408 공부정리  (0) 2011.04.13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