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
프록시 서버는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하여 저장해 둔다. 이렇게 캐시를 해 두고 난 후에, 캐시 안에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전송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불필요하게 외부와의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외부와의 트래픽을 줄이게 됨으로써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 -위키-
"자기자신을 통해서 다른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 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공격자 자신의 IP를 속일 수 있습니다.
공격자가 프록시 서버를 통해 희생자 서버로 접속하면 희생자 서버쪽에선 프록시 서버의 IP주소가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프록시를 사용하는 목적으로는 위에서 살펴본 것을 포함하여 다음의 6가지 이유를 들 수 있습니다.
1. 캐시를 활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2. 특정 서버 접속 차단
3. 특정 포트나 서비스 차단
4. 개인정보 노출방지
5. 개인적으로 IP를 숨기고 싶은 경우
6. 정보수집
: 특정 프록시를 사용하게 되면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혜택과 통제를 받게됩니다
이러한 프록시를 레벨로 분류하자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Level3 transparent 프록시
(ㄱ) 빠르다
(ㄴ) 프록시 IP요청시 헤더 부분에 접속을 요청한 실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함께 포함하여 서비스를 요청 시도함
(ㄷ) IP추적시 실제 클라이언트 IP추적 가능
(ㄹ) X-Troward-for 해더를 요청하면 추적가능
2. Level 2 anonymous
(ㄱ) 서비스요청시 클라이언트IP해더를 포함하지 않음
(ㄴ) 사용시헤더값중에 x-blueCoat-via 코드를 남기게되어 프록시를 사용중인 것을 체크 할 수 있음.
(ㄷ) 장비적으로는추적가능하나 어렵다
(ㄹ) 많은프록시 종류가 거의 여기에 속한다.
3. Level 1 elite, high anonymite
(ㄱ) 일반적으로클라이언트 접속과 같은 페킷 형태임
(ㄴ) 추적이힘들다 ( 특허 받은 기술은 존재 – 불분명한 IP의 경우 접속 거부)
(ㄷ) 프록시서버에서 랜덤하게 프록시 IP부여
(ㄹ) 제공되는프록시 양이 많지 않고 상용서비스가 많음
이상으로 프록시 이해부분을 마치고 다음으로 프록시 활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안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vert Channel (0) | 2011.07.29 |
---|---|
Hping 을 이용한 SynFlooding 공격 (0) | 2011.07.18 |
SynFlooding 방어 (0) | 2011.07.18 |
스위치 보안정리 2 (0) | 2011.07.13 |
스위치 보안정리 1 (0) | 201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