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를 하려면 다음의 순서를 기본으로 지켜야한다
1. 데몬컨트롤
2. 커널파라메터 수정
3. 퍼미션수정
이것이 완료되면 랜선꼽고 서비스 개시하는 것이 정석이다.
첫번째 데몬의 컨트롤 과정을 살펴보자
데몬(서비스) 동작시키는 방법
1. 런레벨에 의해 동작 시키는 방법 = 데몬에의한
부팅시 /etc/rc.d/ 하위에 런레벨에 따른 디렉토리 안에 S와 K로 시작하는 파일명으로 동작한다
파일의 이름을 해당레벨 디렉토리에가서 수정해준다.
2. 슈퍼데몬에 의해 동작시키는 방법 = xinetd 에 의한
xinet.d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왔을 시에만 해당 서비스를 올리는 슈퍼데몬이다.
요청이 없으면 해당서비스는 sleep상태로 있어 p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없다.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단 xinetd설치하면
/etc/xinet.d/ 이하에 서비스 되고 있는 목록이 정의되어 있다.
새로운 xinetd 로 관리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추가시키려면
/etc/xinetd.conf 파일안에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줄 수 있다.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3. 부팅과 상관없이 동작시키는 방법
= STAND ALONE관리를 하려면 다음의 순서를 기본으로 지켜야한다
1. 데몬컨트롤
2. 커널파라메터 수정
3. 퍼미션수정
이것이 완료되면 랜선꼽고 서비스 개시하는 것이 정석이다.
첫번째 데몬의 컨트롤 과정을 살펴보자
데몬(서비스) 동작시키는 방법
1. 런레벨에 의해 동작 시키는 방법 = 데몬에의한
부팅시 /etc/rc.d/ 하위에 런레벨에 따른 디렉토리 안에 S와 K로 시작하는 파일명으로 동작한다
파일의 이름을 해당레벨 디렉토리에가서 수정해준다.
2. 슈퍼데몬에 의해 동작시키는 방법 = xinetd 에 의한
xinet.d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왔을 시에만 해당 서비스를 올리는 슈퍼데몬이다.
요청이 없으면 해당서비스는 sleep상태로 있어 p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없다.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단 xinetd설치하면
/etc/xinet.d/ 이하에 서비스 되고 있는 목록이 정의되어 있다.
새로운 xinetd 로 관리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추가시키려면
/etc/xinetd.conf 파일안에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줄 수 있다.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3. 부팅과 상관없이 동작시키는 방법
= STAND ALONE
/etc/rc.d/init.d/~ 이하에 프로세서들을 직접 지정해서 ststus, start, restart, stop 해 줄 수 있다.
# service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지만, 이것보단 Full PATH 를 이용하여 동작시키는 방법을 연습하자
--------------------------------------
<GUI 서비스 관리 명령어>
# ntsysv
<포트로 서비스 확인하는 명령어 >
# netstat -anlp | grep :23
----------------------------------
/etc/rc.d/rc.local 은 부팅시 맨 마지막으로 읽어들임으로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두번째 커널 파라메터 튜닝부분이다.
서비스의 시작프로그램 튜닝을 완료했으면 커널 파라메터에 대한 튜닝이 필요하다.
===> 시스템에서
cd /proc/sys 경로에 있다.
네트워크 관련된거는
cd /proc/sys/net/ipv4에 있다
icmp_echo_ignore_all 값 고치기
tcp_fin_timeout 값을 적게 줄이면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부하가 줄어든다.
# service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지만, 이것보단 Full PATH인 /etc/rc.d/init.d/~ 이하에 프로세서들을 직접 지정해서 ststus, start, restart, stop 해 줄 수 있다.
-----------------------------------
<GUI 서비스 관리 명령어>
# ntsysv
<포트로 서비스 확인하는 명령어 >
# netstat -anlp | grep :23
----------------------------------
/etc/rc.d/rc.local 은 부팅시 맨 마지막으로 읽어들임으로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두번째 커널 파라메터 튜닝부분이다.
서비스의 시작프로그램 튜닝을 완료했으면 커널 파라메터에 대한 튜닝이 필요하다. ===> 시스템에서
cd /proc/sys 경로에 있다.
네트워크 관련된거는 cd /proc/sys/net/ipv4에 있다
icmp_echo_ignore_all 값 고치기
tcp_fin_timeout 값을 적게 줄이면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부하가 줄어든다.
커널파라메터 튜닝은 나중에 자세히 올리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