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형(자료형)과 변수
- 데이터형(자료형)
- 기본 자료형과 메모리할당 크기 및 표현 가능한 범위
- sizeof 연산자사용해서 확인 -> sizeof 는 함수가 아니고 연산자임
- 데이터형을 잘 선택하기
- unsigned 설명(정수형에만붙일수있음), 음수(보수) 개념 설명
- 변수
-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의 이름.
- 변수선언시 규칙
- 함수내에 변수 선언시 제일 처음에 등장
- 대소문자 구분
- 키워드 안됨 - > 키워드 관련 조사하기
- 공백 포함되면안됨.
- 숫자가 처음에오면안됨.
- 변수이름은 알페벳,숫자,언더바(_) 등으로 구성된다.
- 의미 있는 이름으로 한다. ex) int num;
- 변수 선언 방법 : int num; num=0; 혹은 int num=0;
- 위 처럼 변수 선언후 초기화를 꼭 해준다.
- 서식문자 및 특수문자

- 자료형 범위계산
- char
- -128 ~ 127 = 1000 0000 ~ 0111 1111 까지임 .
- 맨처음 부호비트를 제외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값 : x000 0000 -> 음수를 나타내는 자리에 1 넣으면 1000 0000
- 맨처음 부호비트를 제외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값 : x111 1111 - > 음수를 나타내는 자리에 0 넣으면 0111 1111
- 음수자리에 1이 셋팅되어있으면 나머지 비트수를 양수로 계산해서 더해서 정수를 계산한다.
- 부호있는 8bit 데이터형에서 10001000 은 10진수로 몇인가? -> -128 + 8 = -120
- 연산자
- 산술, 대입, 증감, 관계, 논리, 비트, 콤마연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