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 windows 여러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XTIC USB부팅영역만들기 도구 (0) | 2011.08.03 |
---|---|
[유틸] ShellcodeExec (0) | 2011.08.01 |
[유틸]bat to exe (0) | 2011.08.01 |
VMware 아무나 모르는 인터페이스 연결방식의 원리 (0) | 2011.06.03 |
윈도우 IPC$ C$ ADMIN$ 없애기 (1) | 2011.06.01 |
LG XTIC USB부팅영역만들기 도구 (0) | 2011.08.03 |
---|---|
[유틸] ShellcodeExec (0) | 2011.08.01 |
[유틸]bat to exe (0) | 2011.08.01 |
VMware 아무나 모르는 인터페이스 연결방식의 원리 (0) | 2011.06.03 |
윈도우 IPC$ C$ ADMIN$ 없애기 (1) | 2011.06.01 |
[유틸] ShellcodeExec (0) | 2011.08.01 |
---|---|
[유틸] exe to TXT (0) | 2011.08.01 |
VMware 아무나 모르는 인터페이스 연결방식의 원리 (0) | 2011.06.03 |
윈도우 IPC$ C$ ADMIN$ 없애기 (1) | 2011.06.01 |
Windows 7의 성능(Performance)은 windows xp에 비해 어떻게 향상되었을까요? (0) | 2011.02.10 |
우분투에서 부팅시 콘솔접속하기 (0) | 2011.08.04 |
---|---|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열린포트 닫기 개념 과 명령어 (0) | 2011.08.02 |
grep 사용하기 (0) | 2011.07.11 |
우분투 네트워크 수동설정 및 재시작 (0) | 2011.06.30 |
SU 와 SU - 의 차이 (0) | 2011.06.29 |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열린포트 닫기 개념 과 명령어 (0) | 2011.08.02 |
---|---|
우분투 포트열기 (0) | 2011.08.01 |
우분투 네트워크 수동설정 및 재시작 (0) | 2011.06.30 |
SU 와 SU - 의 차이 (0) | 2011.06.29 |
FreeNX(서버) 우분투에설치 (0) | 2011.06.29 |
Lines beginning with the word "auto" are used to identify the physical interfaces to be brought up when ifup is run with the -a option. (This option is used by the system boot scripts.) Physical interface names should follow the word "auto" on the same line. There can be multiple "auto" stanzas. ifup brings the named inter faces up in the order listed. For example following example setup eth0 (first network interface card) with 192.168.1.5 IP address and gateway (router) to 192.168.1.254: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1.5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1.254
To setup eth0 to dhcp, enter:auto eth0
iface eth0 inet dhcp
우분투 포트열기 (0) | 2011.08.01 |
---|---|
grep 사용하기 (0) | 2011.07.11 |
SU 와 SU - 의 차이 (0) | 2011.06.29 |
FreeNX(서버) 우분투에설치 (0) | 2011.06.29 |
우분투 uuid 확인하는 방법 (0) | 2011.06.15 |
grep 사용하기 (0) | 2011.07.11 |
---|---|
우분투 네트워크 수동설정 및 재시작 (0) | 2011.06.30 |
FreeNX(서버) 우분투에설치 (0) | 2011.06.29 |
우분투 uuid 확인하는 방법 (0) | 2011.06.15 |
파티션정보확인하기 (0) | 2011.06.15 |
GUI 원격 접속 프로그램
1. 저장소 등록
( /etc/apt/sources.list 파일에 추가)
deb http://ppa.launchpad.net/freenx-team/ppa/ubuntu jaunty main
deb-src http://ppa.launchpad.net/freenx-team/ppa/ubuntu jaunty main
5. 설정
/etc/nxserver/node.conf파일 수정
SSHD_PORT=22 (( 추가 ))
6. 접속 도구
우분투( FreeNX 서버) 에 접속하기 위한 도구는
여기에 가면 받을 수 있다. 윈도우 용 링크다.
서버의 재시작은
sudo nxserver --restart
접속 목록 확인은
sudo nxserver --list
우분투 네트워크 수동설정 및 재시작 (0) | 2011.06.30 |
---|---|
SU 와 SU - 의 차이 (0) | 2011.06.29 |
우분투 uuid 확인하는 방법 (0) | 2011.06.15 |
파티션정보확인하기 (0) | 2011.06.15 |
우분투 자체서비스인 vcn을 이용한 원격제어 (0) | 2011.06.10 |
리눅스 RPM 명령어 간단정리 (1) | 2011.06.28 |
---|---|
리눅스 백업 (0) | 2011.06.28 |
리눅스 MAC 타임 (0) | 2011.06.28 |
LVM설정 (0) | 2011.06.28 |
로그관련... (0) | 2011.06.28 |
APM 설치 및 운영 가이드 (0) | 2011.06.29 |
---|---|
리눅스 백업 (0) | 2011.06.28 |
리눅스 MAC 타임 (0) | 2011.06.28 |
LVM설정 (0) | 2011.06.28 |
로그관련... (0) | 2011.06.28 |
APM 설치 및 운영 가이드 (0) | 2011.06.29 |
---|---|
리눅스 RPM 명령어 간단정리 (1) | 2011.06.28 |
리눅스 MAC 타임 (0) | 2011.06.28 |
LVM설정 (0) | 2011.06.28 |
로그관련... (0) | 2011.06.28 |